tm 고천문융합연구센터
본문바로가기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융합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융합연구센터

연구

천문학은 고금을 관통하는 유일한 과학의 분야이며, 동시에 인류의 공통 문명입니다.

제17회 고천문워크숍_2025 고천문우주 컨퍼런스

Last Update: 2025-07-21 (14:00)

2025 고천문우주 컨퍼런스

조선 과학기술의 재조명과 한국 과학문화의 유전자

  • 학술대회 소개

    • 고천문워크숍은 고천문학 분야의 연구자들의 연구 성과 발표 및 토론의 장으로 매년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이번 워크숍은 17회째를 맞이하며,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관 개관 1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공동주최로 진행됩니다. 우리나라 천문시계를 대표하는 보루각루, 흠경각루, 혼천시계 등의 과학 원리와 기술 발전을 조명하기 위해 ‘조선 과학기술의 재조명과 한국 과학문화의 유전자’라는 주제로 다양한 고천문 세션으로 구성하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이번 고천문워크숍은 고천문학 및 천문우주과학 역사를 담아내도록 '고천문우주 컨퍼런스(Conference on Historical Astronomy & Space Science; CHASS)'라는 학술대회명으로 개최합니다.
  • 개요

    • 학술대회명: 2025 고천문우주 컨퍼런스 (2025 CHASS)
    • 일 시: 2025년 7월 18일(금), 10:00 ~ 17:30
    • 장 소: 국립중앙과학관 행정동 세미나실(1층)
    • 주 제: 조선 과학기술의 재조명과 한국 과학문화의 유전자
    • 주최 및 주관: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한국우주과학회, 충북대학교 충북PRO메이커센터
  • 발표분야

    • 조선 천문시계의 과학과 기술
    • 천문역법과 천문수학
    • 동서양의 별자리 및 고천문
    • 과학관 비형식 과학 교육
    • 천문과 인문의 융합
    • 해시계 교육활용 및 연구분야
    • 우주과학 역사분야
    • 기타 관련분야
  • 초록 제출

    • 제출 기간: 2025년 4월 23일(수) 09:00 ~ 2025년 6월 25일(수) 12:00
    • 초록 제출이 마감되었습니다.
  • 참가자 등록

    • 참가자 사전등록: 2025년 4월 23일(수) 09:00 ~ 2025년 7월 4일(금) 18:00
    • 참가자 사전등록이 마감되었습니다. 현장 참여 문의: bhmin@kasi.re.kr
  • 문의

    •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융합연구센터 민병희, 042-865-2044, bhmin@kasi.re.kr
  • 학술대회 일정



    학술대회 자료집

  • 등록

    • 09:30~10:00, 고천문우주 컨퍼런스 학술대회 등록
  • 세션I (전통 천문기기의 유산과 현대 우주관측 기술의 진화) | 좌장: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10:00~10:20, 세종시기 영부의 구조 분석 및 적층형 모델 개발, 유경한 (충북대학교)
    • 10:20~10:40, 험시의 작동모델 개발을 위한 세부구조 분석, 최홍순 (한국천문연구원/충북대학교)
    • 10:40~11:00, 조선후기 관상감 제조의 역법(曆法) 변화에 따른 대응, 신기철 (충북대학교)
    • 11:00~11:20, 하늘의 질서를 넘어 우주생명 탐사까지, 이충욱 (한국천문연구원)
    • 11:20~11:40, 『재이고』에 수록된 태백주현 기록의 천문학적 검증, 김동빈 (독립연구자)
  • 과학관 투어 | 진행: 국립중앙과학관

    • 11:40~12:30,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관 Tour
  • 점심식사

    • 12:30~13:15, 국립중앙과학관내 직원식당 (참가자 등록 신청자)
    • 변경 사항이 있으신 분은 컨퍼런스 조직위원들께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등록 및 휴식

    • 13:15~13:30, 학술대회 등록 및 휴식
  • 개회 | 진행 :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 13:30~13:35, [개회사] 박장현 (한국천문연구원장)
    • 13:35~13:40, [환영사]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장)
    • 13:40~13:45, [축 사] 서호성 (해시계연구회장)
    • 13:45~13:50, [축 사] 안영숙 (한국천문연구원 명예연구원)
  • 기념촬영

    • 13:50~13:55, 학술대회 전체참가자 단체사진
  • 세션II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관 개관 1주년 기념강연: 조선의 천문학과 과학문화) | 좌장: 최고은 (국립중앙과학관)

    • 13:55~14:30, [초청강연1] 조선의 보루각루 주전(籌箭)과 흠경각루 복원, 윤용현 (과학문화유산연구소)
    • 14:30~15:05, [초청강연2]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천문지식, 오상학 (제주대학교)
  • 휴식

    • 15:05~15:20, 휴식
  • 세션III (천문지식의 전달과 해석: 교육, 전시, 기록 분석의 융합) | 좌장: 남경욱 (국립과천과학관)

    • 15:20~15:40, Historical Models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outer planet: Ptolemy, Copernicus, and Tycho Brahe Models, 최승언 (서울대학교)
    • 15:40~16:00, 동서양 고천문도를 통해 본 남십자자리(Crux)의 인식과 변형과정, 박대영 (노원천문우주과학관)
    • 16:00~16:20, 천문학 개념 구조 정립을 위한 진단도구 AcuDA 개발 및 타당성 연구, 강길구 (충북대학교)
    • 16:20~16:40, HTE-STEAM 기반 천문학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학습자의 천문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 개념 재정립 수준을 중심으로, 조아라 (충북대학교)
    • 16:40~17:00, 고천문 기록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 개발, 이서현 (한국교원대학교)
  • 휴식

    • 17:00~17:05, 휴식
  • 폐회 및 나눔 행사 | 진행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17:05~17:25, 천문 기념품/서적 나눔 행사
    • 17:25~17:30, [폐회사] 남경욱 (국립과천과학관 우주천문과장)
  • 저녁식사

    • 18:00~19:30 저녁식사 (참가자 등록 신청자)
    • 변경 사항이 있으신 분은 컨퍼런스 조직위원들께 문의주시기 바랍니다.
  • 2025 고천문우주 컨퍼런스 조직위원회

    • 김상혁 (한국천문연구원, 위원장)
    • 남경욱 (국립과천과학관)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 최고은 (국립중앙과학관)
    • 송인옥 (한국과학영재고)
    • 고미희 (한국우주과학회)
    • 황운구 (대전동신과학고)
    • 박지원 (충북PRO메이커센터)


  • 이미지 간격 및 스타일
    이 그림은 2025년 고천문워크숍 주최 및 주관사 KASI 이미지입니다. 이 그림은 2025년 고천문워크숍 주최 및 주관사 NSM 이미지입니다. 이 그림은 2025년 고천문워크숍 주최 및 주관사 KSSS 이미지입니다. 이 그림은 2024년 해시계학술대회 주최 및 주관사 CPMC 이미지입니다.